본문 바로가기

임신 출산 육아 정보

신생아 황달 치료, 원인은 모유라고?

728x90
반응형

신생아 황달이란

신생아기에 혈중 빌리루빈의 증가로 황달을 나타내는 질환을 총칭하며, 생후 첫 주 내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됩니다.

증상은 생후 3~4일경 아기 피부가 노란색(밝은 오렌지색)을 띠다 생후 일주일~10일경 저절로 사라지는데, 이는 병적인 황달과는 다릅니다.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지만 심한 황달을 치료하지 않으면 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신생아 황달은 원인에 따라 출생 시부터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만

밝혀진 황달의 원인으로는, 신생아 적혈구의 수명이 짧아 빌리루빈의 생성이 증가하고 간 대사가 미숙하므로 처리 능력이 떨어져서 보이는 증상입니다.

 

진단은 황달이 시작된 시기와 신생아 전신의 상태, 수유량, 체중 증감 상태, 모유 수유 여부,

빌리루빈 수치 및 혈액형 등의 병력이나 진찰 소견,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신생아 황달도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생리적 황달과 병적인 황달로 나눕니다.

구별하는 이유는 치료 방법과 경과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생리적 황달은 모든 아기에게 생길 수 있으며 정도가 다를 뿐입니다. 어떤 아기는 황달이 심하지 않으며 저절로 좋아지고, 어떤 아기는 검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대부분 별다른 치료 없이 사라지며 특별히 합병증을 일으키지도 않지만 정도가 심하다면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생리적 황달과 달리 심한 황달을 일으키는 특별한 원인이 있는 경우가 병적인 황달입니다.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의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위에 말씀드린 대로 대부분 큰 문제 없이 좋아지나,

치료가 필요한 병적 황달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생후 첫날에 황달이 발견되는 경우
  2. 혈중 빌리루빈 수치가 12mg/dL 이상인 경우
  3. 생후 2주 이상 황달이 지속될 때, 직접 빌리루빈이 2mg/dL인 경우

신생아 황달

 

 

황달이 심하면 피부뿐 아니라 눈의 흰자위나, 심하면 몸통, 사지 및 발바닥 피부까지 노랗게 됩니다. 신경계통에 영향을 주게 되면 신생아는 잘 먹지 않고 처지며 정상적으로 있어야 하는 놀람반사가 약해집니다.

 

황달 검사는 경피용 황달 측정기를 사용하거나 혈액을 채취하여 빌리루빈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황달 치료는 광선치료를 통해 빌리루빈이 많이 흡수하는 파장의 광선을 쬐어 빌리루빈의 변형을 가져와 간의 대사를 거치지 않고 위장관과 콩팥으로 배설할 수 있게 돕습니다.

적혈구가 파괴되어 만들어지는 빌리루빈이라는 물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됩니다. 그런데 파괴되는 적혈구가 많을 때 혹은 생성된 빌리루빈이 미숙한 간에서 처리되지 못했을 때 황달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생리적 황달은 출생 후 간의 능력이 향상되며 보통 1주일 이내에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태내에서도 황달의 위험성이 있지만, 이때는 태반을 통하여 빌리루빈이 엄마 쪽으로 배설되어 처리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병적 황달의 원인 중 모유 황달이 있는데 보통 생후 1주일경 나타나며, 3주~10주 정도 지속됩니다.

모유 안에 있는 지방산들이 간의 빌리루빈 대사를 방해하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는데,

모유를 먹는 아기가 분유를 먹는 아기에 비해 신생아 황달이 더 잘 생기기는 합니다.

 

모유 황달도 조기 및 후기로 나뉘는데,

모유 수유가 충분하지 않아 탈수가 생기거나 칼로리 섭취 부족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조기 모유 황달입니다. 10회 이상 모유 수유를 하며, 밤에도 수유하는 것이 조기 모유 황달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편, 모유 수유 아기의 2%는 생후 1년 이후에도 황달이 지속되며 혈청 빌리루빈 농도가 10~30mg/dL까지 올라가는 것을 후기 모유 황달이라고 합니다. 후기 모유 황달이 중등도로 심한 경우엔 모유를 중단하고 분유를 먹이면 대개 호전되며,

그 후에는 모유를 먹이더라도 황달이 다시 심해지지는 않습니다.

후기 모유 황달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합병증이 올 수 있으므로 입원하여 치료받아야 합니다.

 

황달 치료는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20mg/dL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하는 것이 원칙이고,

모유 황달 같은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모유를 중단한 후 황달의 변화를 관찰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요즘은 용혈성 원인이 아닌 이상 25mg/dL까지는 안전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하지만 신생아는 신생아실 퇴원 후 황달이 시작되거나, 치료받고 퇴원했더라도 다시 심해질 수 있어 세심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맨눈으로 황달이 심해지는 것이 보인다면 외래 방문을 서두르는 것이 안전합니다.

 

 

2024.02.01 - [임신 출산 육아 정보] - 신생아 태열 원인은? 예방과 치료법 3가지

728x90
반응형